resmed_h_pos_clr_rgb_250121 Healthcare Professional
  • 수면질환 및 치료
    • 건강한 수면
    • 수면무호흡증이란?
    • 수면 자가진단 테스트
  • 제품
    • Devices
    • Masks
    • Humidifier
    • Accessories
  • 고객지원
    • 회사소개
    • 판매처 찾기
    • 뉴스룸
    • 고객문의
  • COVID-19 업데이트
  • 양압기 Recall 업데이트

뉴스룸

레즈메드 코리아의 최신 소식을 알려드립니다





[미디어] [기고] 밤이 낮을 지배한다.



[기고] 밤이 낮을 지배한다.
코슬립수면클리닉 신홍범 대표원장(대한수면의학회 보험이사)




[2018년9월 12일, 메디파나뉴스] 체르노빌 원전사고, 우주선 챌린저호 폭발, 유조선 엑손 발데즈호의 기름 유출 사고, 2003년 일본 신칸센 졸음사고, 2016년 미국 뉴저지 열차탈선 사고 등 비극적인 대형사고들에는 공통점이 있다.

담당자, 기관사의 졸음으로 인한 사고였다는 점, 그리고 사고 이면에는 '수면무호흡증'이라는 질병이 있었다는 점이다. 이는 수면무호흡증에 대해 사회적 인식이 높았다면 미연에 막을 수 있었다는 안타까움과 함께 우리나라 사회전반에서 아직 반복되고 있다는 아찔함도 같이 느껴지는 부분이다.

수면무호흡증은 수면 중 무호흡이 빈번하게 발생하면서 이로 인해 저산소증이 유발되고, 동시에 다양한 합병증을 유발하는 질환이다. 깊은 잠에 이르지 못하고 자꾸 잠을 깨는 수면 중 각성이 발생해 충분한 시간을 자도 주간 졸림, 피로함, 두통, 집중력과 능률저하, 기억력 감퇴 등과 심뇌혈관 질환 및 대사질환의 위험을 높인다.

이는 사회, 경제적으로도 많은 영향을 끼치는데 학생들의 학습능력저하, 직장인의 업무효율 저하 및 운전 중 졸음으로 인한 교통사고 및 대형사고의 위험에도 노출될 수 있다. 정밀하고 안전하게 집중해야 하는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사람이 수면무호흡증으로 인해 주간졸림 증상이 계속 나타난다면 시한폭탄을 들고 일하는 셈이라고 보는 것도 과하지 않다.

국내 수면무호흡증 환자는 2017년 기준 약 3만 1천 명(31,377명) 으로 최근 5년 새 약 16% 늘어나며 지속적인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도 1억 명이 넘는 사람들이 수면장애를 겪고 있지만, 이들 대부분(약 90%)이 치료 받지 않는다 는 보고가 있을 만큼, 대부분의 환자들이 질환의 심각성을 자각하지 못한 채 피로감과 졸음증에 시달리면서 방치 중일 수 있다.

이는 개인의 책임으로만 전가할 수 없다. 특히 열차, 화물차, 버스 등의 직업 운전자, 공장이나 산업 현장의 작업자들은 이러한 수면질환 치료 및 관리에 사각지대에 놓여 있기에 더욱더 세심한 관심이 필요하다.

이런 문제에 빠르게 눈을 떠 수면무호흡증으로 인한 재해 예방을 위한 대책을 모색한 곳은 일본이다. 2003년 270km로 달리던 신칸센에서 8분 간이나 기관사가 졸음을 하다가 급정차 한 아찔한 사고를 기점으로, 2004년에는 '수면무호흡증 검진 위탁법인'을 만들어 트럭, 버스, 택시 등의 운수 협회 기사들은 최소 3년 마다 간단하게 간이 검사를 통해 수면검사를 받고, 수면장애 발견 시 의료보험의 혜택을 받아 큰 부담 없이 수면다원검사와 양압기 치료를 받을 수 있게 했다.

벌써 15년 전 국가적 차원에서 졸음운전을 막는 사회적 시스템을 구축한 셈이다. 수면무호흡증은 진단과 치료를 통한 증상 개선이 가능하기 때문에, 국가적 지원은 졸음 운전 등 예방에 큰 도움이 된다.

우리나라에서도 지난 7월 수면질환과 관련해 급여가 적용됐다. 수면다원검사와 수면무호흡증의 대표적인 치료인 양압기가 급여항목에 포함됐다.

수면다원검사는 수면 중 여러 가지 비정상적인 상태를 진단해 병적 증상 여부와 다양한 수면 사건을 분석해 볼 수 있는 검사 방법이다. 8시간 이상 병원에서 잠을 자면서 뇌전도, 심전도, 호흡변화 측정, 코골이 측정, 산소포화도 등을 측정하는 검사로 수면장애의 정확한 원인과 정도를 파악하고5 수면무호흡 지수도 파악된다.

기존 수면다원검사가 병의원에 따라 약 70~100만원 정도 비용 부담이 있었다면, 급여 적용에 따라 환자의 본인부담금은 20%로 10만원대에 검사가 가능해졌다. 수면다원검사 급여는 의원에서 상급종합병원 모두 해당되며, 검사는 보건복지부 장관이 인정하는 수면다원검사 정도관리위원회에서 인증한 자격기준을 갖춘 전문의가 시행하는 것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

수면무호흡증의 가장 효과적 치료인 양압기의 급여 기준은 수면다원검사 결과가 수면무호흡 지수 5에 해당하는 환자로 급여 적용 시 약 월 1만 5천원~ 2만 5천원 정도로 기기를 대여해서 사용할 수 있다. 기존 양압기 구입비가 약 200만원~300만원 가량 고가였던데 비하면, 급여를 통해 1~2만원대에 렌탈이 가능해져 치료 부담이 크게 줄었다.

이번에 급여가 적용되는 양압기는 중국산이나 국내산 양압기부터 레즈메드 등 글로벌 수면의료기기 기업의 최신 제품까지 포함된다. 그동안 치료 알고리즘, 사용 편의성 등의 차이가 있더라도 비용 부담으로 인해 접근성이 떨어지던 프리미엄 양압기까지 선택의 폭이 넓어진 셈이다.

지난 7월 초 시행된 이 급여 제도는 수면무호흡증 질환으로 인한 개인의 건강 문제와 졸음으로 인한 사고 위험 방지 등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첫 발을 뗀 걸음마 단계이다. 아직 자리 잡기 위해서는 많은 준비와 개선이 필요하다.

먼저 수면다원검사와 양압기 치료가 보험급여 혜택을 통해 부담 없는 금액으로 치료가 가능해졌다는 정보가 충분히 알려지지 않아 아직 치료 대상자들이 잘 모르고 있다는 점이다.

또한 근본적으로 수면무호흡증을 질병으로 인식하고 개선하려는 의지도 매우 낮다. 한 조사에 따르면 환자가 수면무호흡증을 처음 인지하게 된 계기는 '본인의 코골이 증상에 대한 배우자 혹은 거주 중인 가족의 불평'이 79%로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혼자 생활하는 경우엔 자각하지 못하다가, 배우자 혹은 가족에 의해 증상을 처음 인지 하게 되는 것이다. 증상을 자각하면 지체하지 말고 급여 혜택을 통해 검사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주변에서 알려주지 않더라도 수면무호흡증을 의심해 볼 수 있는 지표가 있다. 물론 코골이가 수면무호흡증과 가장 연관성이 높은 증상이지만, 심한 코골이가 있는 사람의 35%가 수면무호흡증을 동반한다. 그 외 목둘레가 두껍거나, BMI 30이상, 낮 졸음이 지속되는 경우에도 의심해 볼 수 있다.

일단 수면무호흡증의 진단이 이루어졌다면 그 다음은 환자의 치료 순응도를 높일 수 있는 치료환경을 조성해주는 것도 중요하다. 환자 타입에 따라 수동형 양압기(CPAP), 자동형 양압기(APAP) 등 치료 알고리즘을 선택할 수 있는데, 특히 유럽호흡기학회에서의 발표 등을 통해 실제적으로 치료 알고리즘, 제품력을 검증 받은 프리미엄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아울러 지속적인 양압기 치료에 중요한 연결고리 역할을 하는 마스크 선택 역시 우리나라 환자들의 얼굴 윤곽에 최적화되어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하는지, 사용자의 수면환경에 편의성을 제공하는지 꼼꼼히 살펴 지속적인 치료가 이뤄지도록 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직업 운전자, 안전 사고 위험이 높은 직업군 등은 필수적으로 수면다원검사 및 양압기 치료를 지원하는 방안이 고려되어야 한다. 개인의 책임으로 미룰 것이 아니라 일본처럼 사고예방을 위해 선제적으로 더 폭넓은 지원을 하면 수면질환으로 인한 사고는 충분히 예방 가능하다.

매일 평균 약 7건씩 발생하는 졸음운전 교통사고(1년 간 총 2,433건/2016년), 수면질환 급여를 통해 한 발짝 다가간 만큼 사회 구성원을 보호하는 안전장치를 보다 적극적으로 마련해가는 노력도 논의가 필요한 때이다.

|기고| 코슬립수면클리닉 신홍범 대표원장(대한수면의학회 보험이사)

※본 기고는 메디파나뉴스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기사 원문 링크]

[언론 문의]
레즈메드코리아
이혜림 차장 / 02-311-4702 / HyeLim.Lee@resmed.com.au


No. 제 목 작성일
2. [보도자료] 글로벌 수면 솔루션 전문기업 레즈메드, 한국시장 홍보대사로 '샘 해밍턴' 선정 2018.09.06
  • facebook
  • twitter
  • linkedin
  • youtube
  • Support
  • Contact
  • About us
  • Legal disclaimer
  • Intellectual property
  • Terms of use
  • Privacy
  • Cookie Notice

©2000- ResMed. All rights reserved.

자가진단테스트 판매처 찾기 제품바로가기
자가진단테스트 판매처 찾기 제품바로가기